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

4. Survival/PSM/Sinkey/Forest/Network Plot

논문작성에 필요한 R ggplot2 데이터 시각화3

Ch5. Modeling Visualization

이번 챕터는 각 분석 별로 파생되어 나오는 그래프들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시각화 방법만 다루고 있으므로 모형에 대한 해석은 진행하지 않습니다. (애초에 난수 데이터여서 데이터가 정확하지도, 결과값이 깔끔하게 나오지도 않습니다.)

1. Survival Plot
  • 생존분석을 진행한 후, ggsurvplot()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리도록 하겠습니다.

2. PSM
  • 매칭 되기 전과, 매칭 된 후의 데이터 분포 비교를 진행하겠습니다.

  • cowplot패키지의 plot_grid()를 이용하면 두 개의 ggplot 그래프를 합칠 수가 있습니다.

3. Sinkey Chart

특별한 분석이 들어가는 차트는 아니지만, 환자들의 치료 여부에 따라 이벤트 발생 여부 흐름을 시각화 할 수 있는 차트입니다.

 

4. Forest Plot

Forest Plot은 Cox Regression혹은 메타분석 결과를 표현하는데 주로 사용합니다. 작성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.

5. Network Plot

Network Plot은 각 변수 별 동시 등장빈도, 혹은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그릴 수가 있습니다.

  • 데이터 생성

  • 네트워크 데이터 변환

  • Basic Network Plot

  • geom_edge_linke()등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더욱화려하게 그릴 수가 있습니다.

댓글